웹툰 시장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며 다양한 웹툰의 수요가 점점 커지며 웹툰 작가의 활동 영역도 넓어지고 있습니다. 플랫폼에서 직접 활동하는 작가들은 물론 스튜디오에 취업해 활동하기도 합니다.
2.
웹툰 작가는 네이버 웹툰, 카카오페이지와 같은 대형 플랫폼은 물론 레진, 투믹스, 배틀코믹스, 미스터블루, NC코믹스와 같은 중견 플랫폼, 포스타입이나 딜리헙 같은 오픈 플랫폼에서도 활동할 수 있습니다.
3.
SWA는 스토리, 연출, 작화 등 웹툰 작가가 되기 위한 다양한 역량을 기르는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스토리텔러
1.
웹툰에서도 스토리텔러와 협업이 늘어나고 있고, 디지털 콘텐츠에서 스토리텔링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어 점점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2.
스토리텔러는 웹툰 스토리 작가 뿐 아니라 웹소설 작가, 장르소설 작가, 웹 드라마 작가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3.
SWA에서는 1-3학기에 스토리텔링 전문 과목이 개설되며, 스토리텔링 전문 프로젝트도 운영됩니다. 스토리 작가와 작화 작가의 협업을 통해 현장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웹 일러스트레이터
1.
일러스트레이션은 출판은 물론 디지털 콘텐츠에서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웹소설 서비스가 커지면서 웹 일러스트레이터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2.
웹 일러스트레이터는 웹 소설 일러스트레이터, 캐릭터 아티스트, 게임 일러스트레이터 등 다양한 비주얼 아티스트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3.
SWA에서는 디지털 기반 일러스트레이션 테크닉을 배울 수 있으며, 일러스트레이션 프로젝트가 운영됩니다.
웹툰 PD
1.
웹툰 사업이 발전하면서 웹툰을 기획하고, 작품을 선별하고, 마케팅하는 등 웹툰 기획, 서비스, 마케팅 단계의 인력을 PD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프로듀서Producer라는 직종이 등장한 미국 영화산업에서는 ‘제작자’를 뜻하는 용어지만, 한국에서는 PD라는 직종이 기획자, 코디네이터, 에디터, 마케터 등 다양한 영역의 인력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2.
웹툰 PD는 웹툰을 기획하고, 제작하여 서비스하는 전체 영역에서 작가와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내는 업무를 포괄합니다.
3.
SWA에서는 프로젝트 수업, 협업 프로젝트 등을 통해 PD의 역량을 발견할 경우 산학협동업체를 통해 각종 인턴십을 수행하며 웹툰 PD로 진출하게 됩니다.
웹툰 스페셜리스트 : 콘티 작가
1.
웹툰 제작 단계에서 협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만화 산업에서는 스토리 작가와 작화 작가로 주요 직무가 나뉘어졌지만, 웹툰은 세분화된 직무에 종사하는 스페셜리스트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2.
웹툰 스페셜리스트 콘티 작가는 텍스트 형식으로 제작된 다양한 원작을 웹툰에 맞게 연출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웹소설, 장르소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IP를 활용한 웹툰 제작이 늘어나며 콘티 작가의 활동 영역이 커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활동을 하거나 스튜디오나 제작사 등에 취직할 수 있습니다.
웹툰 스페셜리스트 : 작화 작가
1.
콘티를 작화로 옮기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페셜리스트입니다. 예전 출판만화 시절에는 ‘뎃생맨’ 등의 용어로 불린 직무입니다.
2.
웹툰 제작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한다. 개인적으로 활동을 하거나 스튜디오나 제작사 등에 취직할 수 있습니다.
웹툰 스페셜리스트 : 컬러링 작가
1.
웹툰 제작 단계에서 가장 많이 아웃소싱되는 직무입니다. 마블이나 D.C 등 미국 만화 제작 시스템에서 특히 컬러링 작가가 스페셜리스트로 활동합니다.
2.
능력있는 컬러링 작가를 찾는 웹툰 작가, 스튜디오가 많으며 개인적으로 활동을 하거나 스튜디오나 제작사 등에 취직할 수 있습니다.